company_3
top
study_left
total content 36 , lately 0
   

오온의 색온, 수온, 상온,행온,식온 대하여

writer : 담마 날짜 : 2013-03-30 (토) 20:45 hits : 2612
5(五蘊)의 온(:skandha) '모임'[集合]이라는 뜻이다.
때로는 '()'이라고도 번역했다.
 
5온은 좁은 의미로는 인간존재를 가리킨다.
인간은 물질적인 요소인 색(=육체)과 정신적인 요소인 수(),
(),(),() 5개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.

그러나 5온이 넓은 의미로 쓰일 때는 일체존재를 가리킨다. 이 경우에는 색은 물질전체를, 그리고 수. . . 식은 정신 일반을 말한다.

인간 존재만을 특별히 구별해서 말할 때는
5온이라는 말 대신에
5취온(五取蘊)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.

그것은 5온으로 이루어져 있는 존재를 고정적인 자아[自我: atman]라고 생각하고, 그것에 집착[: upadana]한다는 의미에서이다.
 
 
1.색온(色蘊: rupa)
색이란 육체를 가리킨다. 육체는 물질적인 4가지 기본 요소인
4(四大: mahabhuta)와 이 4대에서 파생된 물질인 4대소조색(四大所造色)으로 이루어져 있다.

4대란 지,,,풍으로서,
1.지()는 뼈, 손톱, 머리카락등 육체의 딱딱한 부분이고,
2.수()는 침,혈액, 오줌등 액체부분이다.
3.화()는 체온이고
4.풍
()은 몸속의 기체, 즉 위장 속의 가스 같은 것을 가리킨다.

4대소조색이란 4대로 이루어진 5종의 감각 기관[五根]
(),().(), (), ()등이다.
 
2.수온(受蘊: vedana)
수란 감수(感受=감정)와 그 작용이다.
()는 내적인 감각기관들과 그 것에 상응하는 외적인 대상들과의 만남에서 생긴다.
수에는 성질 상 3종이 있다.
1) 고수(苦受)와 낙수(樂受),
2) 불고불낙수(不苦不樂受)이다. 고수란 즐거운 감정이고, 낙수란
   괴로운 감정이다
.
3) 불고불낙수란 사수(捨受)라고도 하는 것으로서
   괴로움도 즐거움도 아닌 감정을 가리킨다.
 
3.상온(想蘊 : samjna)
상은 개념(槪念) 또는 표상(表象)과 그 작용을 말한다.
상 역시 감각기관들과 그 것에 해당되는 대상들과의 만남에서 생긴다. 상은 대상들을 식별하고, 그 대상들에 이름을 부여한다. 붉은 꽃을 볼 경우 먼저 지각(知覺)에 의해 인식 작용이 생기게 되고, 그 다음 '붉은 꽃'이라는 개념을 만드는 작용이 일나게 된다. 이때 '붉은', 또는 ''이라는 개념 또는 그 작용이 상()이다.
 
4.행온(行蘊 :samskara)
, samskara '형성하는 힘'[形成力]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지만, 여기서는 특히 의지작용(意志作用: cetana)을 가리킨다. 인간이 동물과 달리 윤리 생활을 할 수 있고 업(: karma)을 짓게 되는 것은 이 행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. 넓은 의미로서의 행은 수, , 식을 제외한 모든 정신작용과 그 현상이다. 예를 들면 기억, 상상, 추리 등이 여기에 속한다.
 
5.식온(識 : vijnana)
식은 일반적으로 분별(分別), 인식(認識) 및 그 작용을 말한다.
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식()의 영역은 대상을 인식하는데 까지 가지 않는다. 그 전 단계인 주의작용(注意作用)일 뿐이다. 예를 들면 붉은 꽃을 볼 때 안식(眼識)이 일어나게 되는데 안식은 눈앞에 '무엇이' 나타난 것만을 알뿐이다. '붉다' '꽃이다'라고 아는 것은 식이 아니고 상()의 작용이다. 식 역시 감각기관들과 그 것에 해당되는 대상들과의 만남에서 생긴다.

5온이론은,
인간 존재란 색, , , , 식 등 5 가지 요소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.

잡아함경에서는 이것을 "마치 여러 가지 목재(材木)를 한데 모아 세상에서 수레라 일컫는 것처럼 모든 온(=要素)이 모인 것을 거짓으로 존재[衆生]라 부른다."라고 비유로써 설명하고 있다. 수레는 바퀴, 차체(車體), ()여러 요소가 모였을 때 비로소 존재할 수 있는 것일 뿐, 이 요소들과 관계없이 홀로 존재할 수는 없다.

인간존재도 마찬가지다.
, , , , 식 등 5 요소가 모일 때 비로소 인간이라는 존재도
성립할 수 있게 된다
.

출처; 팔공산 동화사

name password
html
serect text (You can check the contents leaves only the writer checked.)
Please enter the character of the left.
   
QR CODE

bottom